건강 Upgrade
민감성 피부라면 꼭 알아야 할 화장품 성분표 보는 핵심 포인트!
EggZone
2025. 3. 27. 10:15
반응형
피부가 예민하신가요?
사용하는 화장품 하나에 따라 피부가 뒤집히거나 오랜 트러블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.
이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화장품 성분표를 제대로 읽는 습관입니다.
이 글에서는 민감성 피부를 가진 분들이 화장품 성분표를 확인할 때 꼭 알아야 할 정보,
그리고 자극을 줄 수 있는 대표 유해 성분과 피하는 요령을 정리해드립니다.
1. 전성분표, 어디부터 봐야 할까?
1) 성분 순서는 함량 순서!
- 전성분 표시는 함량이 높은 순서대로 나열됩니다.
- 따라서 첫 5개 성분이 전체 성분의 70~90%를 차지할 수 있습니다.
- 민감성 피부라면 상단에 위치한 성분이 자극적이지 않은지 확인이 중요합니다.
2) 1% 이하 성분은 무작위로 표시
- 1% 미만 성분부터는 순서와 관계없이 기재할 수 있어 함량 판단이 어렵습니다.
- 향료나 방부제는 대부분 이 범주에 포함되지만, 소량이라도 자극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.
2. 민감성 피부가 피해야 할 주요 성분
성분명 | 이유 및 주의 사항 |
향료 (Fragrance) | 천연·합성 불문하고 트러블 유발 가능성이 높음 |
알코올류 (Ethanol 등) | 건조 자극 유발, 붉은기나 따가움 유도 가능성 있음 |
파라벤류 | 방부제 역할이지만 알레르기 유발 사례 다수 있음 |
페녹시에탄올 | 피부 자극 가능성 있으며, 알레르기 반응 보고 사례 존재 |
SLS/SLES | 강한 세정 성분, 피부 장벽 손상 가능성 있음 |
“무향”, “무알콜”, “무방부제” 제품이라도 성분표로 실제 포함 여부를 확인하세요.
3. 성분표 보는 실전 팁
- 성분 이름 뒤에 괄호 설명 여부 확인
→ 예: Tocopherol (Vitamin E)와 같은 식별 가능 정보는 신뢰도 ↑ - 화장품 전성분 앱(예: 화해, 눅눅 등) 활용해 알러지 지수 확인
- 피부 자극 테스트 완료 표시가 있는지 여부 확인
- EWG 등급을 참고하되, 맹신은 금물! 전체 조합이 더 중요합니다.
4. 전성분표, 이렇게 활용하세요
상황 | 체크포인트 예시 |
트러블이 자주 날 때 | 최근 사용 제품의 공통 성분 분석 → 트러블 유발 성분 유추 가능 |
새로운 제품 구매 전 | 성분표 상단 5개 확인 → 알콜, 향료, 합성 계면활성제 유무 점검 |
기존 제품 대체할 때 | 성분 유사도 확인 → 기존에 잘 맞았던 제품과 비교해보기 |
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“향료”라고만 써 있으면 어떤 성분인지 알 수 없나요?
A1. 맞습니다. '향료(Fragrance)'는 복합 성분이며 제조사 영업비밀로 구체적인 성분을 표기하지 않습니다. 민감성 피부는 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Q2. 전성분에 '천연'이라고 써 있으면 안전한가요?
A2. '천연'이라도 모든 피부에 자극이 없다는 보장은 없습니다. 예를 들어 에센셜오일도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.
Q3. 무조건 성분이 적은 제품이 좋은 건가요?
A3. 단순히 성분 수가 적다고 해서 더 안전하다고 보긴 어렵습니다. 중요한 건 자극 유발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입니다.
반응형